여러번 도전하지만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사람... 그것은 자신에게 맞는 다이어트 방법을 선택하지 못해서 그런걸수도 있습니다. 다이어트의 성공 여부는 현재 자신에게 맞는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찾아 볼까요?
다이어트 방법은 크게 나누면 두 가지가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섭취 칼로리 < 소비 칼로리"의 공식대로 피하 지방을 줄여 나가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식사를 하면서 몸에 축적되는 칼로리를 줄여 체중을 떨어 뜨리는 방법입니다. 몸이 소비하는 칼로리 보다 음식을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여 피하 지방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칼로리를 줄이면서도 몸에 들어가는 영양분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이 다이어트 방법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레코딩 다이어트
이전에 유행했던 다이어트이지만, 이것은 식사로 섭취하는 칼로리를 시각화하여 칼로리를 컨트롤 하는 방법입니다. 무엇을 섭취했는지 확인하고, 신체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면서, 그 기록한 내용들을 보며 반성 및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 1식 대체 다이어트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는 다이어트 방법으로써 식사 중 한번은 다이어트 음료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간편하고 쉽게 도입 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이어트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단순하게만 하는 슬리밍의 다이어트 시대는 끝났습니다. 지금은 아름답게 살을 빼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면서 합리적으로 다이어트를 해야 합니다.
√ 탄수화물 줄이기 다이어트
보통 다이어트 식사라고 하면 탄수화물을 줄이거나 섭취하지 않는것이었습니다. 준비할 것은 아무것도없고, 곧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의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 식품 대체 다이어트
다이어트 중에서도 파스타가 먹고 싶다. 그럴 때가 있지요. 그럴때는 파스타면 대신 당면 등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일반 양념으로 하는 것입니다. 원래는 병원식 등으로부터 개발 된 것이지만, 다이어트에도 인기입니다.
√ 보충제 다이어트 지원
다이어트에서 칼로리가 제한 된 식사로 하루에 필요한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 등은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만, 보충은 어디 까지나 지원하는 의미이므로 필요한 영양분을 모두 보충제로 하는 방식은 좋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소비 칼로리를 증가시켜 체중을 떨어 뜨리는 방법입니다. "섭취 칼로리 < 소비 칼로리" 공식으로 소비 칼로리에 해당 쪽을 늘림으로써 피하 지방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신체에 들어가는 칼로리보다 더 많은 소비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앞의 방법보다 시간도 필요하고 노력도 필요 합니다. 또한 높은 칼로리를 소비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지만, 장시간 계속할 수있는 운동이어야 효과적입니다. 이 다이어트 방법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조깅 다이어트
전신 운동이며, 높은 칼로리 소모시킴으로써 다이어트에 널리 알려진 방법입니다. 익숙해지면 1시간 정도 조깅 할 수있게 되기 때문에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조깅의 칼로리 소비는 "체중 (kg) × 거리 (km) = 칼로리 (Kcal)"입니다. 50 킬로미터의 거리를 여성이 1시간(천천히 달려 8km) 달리다 보면 소비 할 칼로리는 400 칼로리입니다. 일반적으로 파스타 1인분이 160 칼로리 정도이므로 상당히 가치가 있는 방법입니다
√ 수영 다이어트
조깅와 더불어 전신 운동으로 부상 걱정없이 높은 칼로리를 소비 할 수 있는 수영도 추천합니다. 수영에 관해서는 기술이 필요하며, 그로 인하여 칼로리는 사람마다 상당히 달라집니다. 평균적으로 볼때 여성과 같은경우 1시간 크롤링이 약 800에서 1,000 칼로리, 평영이 1시간에 약 500 칼로리, 수중 워킹이 1시간에 약 200 칼로리가 소모됩니다. 장소도 기술도 필요하기 때문에 조깅이나 워킹 정도로 간단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다이어트를 진심으로하시는 분은 적극 추천합니다.
신진대사(기초대사)와 다이어트의 관계 (0) | 2020.11.08 |
---|---|
효과적인 다이어트 식사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식습관) (0) | 2020.11.07 |
팝콘의 영양소 및 다이어트에 효과(효능)가 있을까? (0) | 2020.11.06 |